본문 바로가기

머리맡의 책 한 권

삶의 여백

테오에게


 


의욕적으로 일하려면 실수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은 흔희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면 훌륭하게 될 거라고 하지. 하지만 그건 착각이다. 너도 그


런 생각은 착각이라고 말했잖아. 그들은 그런 식으로 자신의 침체와 평범함


을 숨기려고 한다.


  사람을 바보처럼 노려보는 텅 빈 캔버스를 마주할 때면, 그 위에 무엇이


든 그려야 한다. 너는 텅 빈 캔버스가 사람을 얼마나 무력하게 만드는지 모


를 것이다. 비어있는 캔버스의 응시, 그것은 화가에게 "넌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라고 말하는 것 같다. 캔버스의 백치 같은 마법에 홀린 화가들은 결국


바보가 되어버리지. 많은 화가들은 텅 빈 캔버스 앞에 서면 두려움을 느낀다.


반면에 텅 빈 캔버스는 "넌 할 수 없어"라는 마법을 깨부수는 열정적이고 진


지한 화가를 두려워한다.


  캔버스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삶도 무한하게 비어있는 여백, 우리를 낙심케


하며 가슴을 찢어놓을 듯 텅 빈 여백을 우리 앞으로 돌려 놓는다. 그것도 영


원히! 텅 빈 캔버스 위에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삶이 우리 앞에 제시하는 여


백에는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다. 삶이 아무리 공허하고 보잘것없이 보이더


라도, 아무리 무의미해 보이더라도, 확신과 힘과 열정을 가진 사람은 진리를


알고 있어서 쉽게 패배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는 난관에 맞서고, 일을 하고,


앞으로 나아간다. 간단히 말해, 그는 저항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1884년 10월


 


 


[반 고흐, 영혼의 편지 / 신성림 / 예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여백을 무한한 가능성으로 여긴다. 하지만 위대한


화가 고흐는 개척하고, 저항해야할 고통의 이미지로 해석하고 있다. 어쩌면


매 순간 창작의 고통을 겪는 예술가에게 텅 빈 삶은, 텅 빈 캔버스와 동일하게


여겨질 지도 모르겠다.


요즘, 고흐에 빠져 지낸다. 자신의 온 영혼을 다 바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인


물이 얼마나 될까? 그가 동생에게 보낸 편지를 읽을 때 마다, 그가 얼마나 그


림을 사랑했는지 한세기를 훌쩍 넘겨 태어나 지금 이땅에 살고있는 내게도 그


마음이 절절하게 느껴진다.

'머리맡의 책 한 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리두기... 그 어려운 일  (0) 2016.11.16
요즘... 책.  (0) 2016.03.16
고통이 아니라 경험에 집중하라.  (0) 2012.08.12
일용할 마음의 양식~  (0) 2012.07.26
2012년 5월의 책...  (0) 2012.05.14